눈이 간지럽고 뻑뻑한 느낌이 드시나요? 병원에 갔더니 안구건조증 진단을 받으셨나요? 이 글 하나로 끝까지 읽으시면 안구건조증에 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도록 해드리겠습니다. 안구 건조증의 증상, 원인, 치료방법 및 예방법(약물 요법, 환경 요법, 수술) 순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안구건조증 증상
증상
안구가 건조해지는 증상으로 건성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환자마다 정말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병입니다. 비누거품이 눈에 들어간듯한 따가운 느낌, 콕콕 쑤시는 느낌, 눈에 이물질이 들어간 듯한 느낌, 눈에 눈물이 부족하고 건조한 듯한 느낌이 있습니다. 또 눈에 점액성 물질의 분비, 작열감, 눈이 뻑뻑한 느낌, 잠을 충분히 잤는데도 눈꺼풀이 무거운 느낌, 눈의 피로감, 눈이 부시는 증상 등이 있습니다.
증상은 보통 밤에 심해집니다. 잠잘 때 눈물의 분비가 줄어들어서 잠자고 일어난 아침에 증상이 악화됩니다. 책이나 텔레비전을 오랫동안 볼 경우에는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눈의 표면을 건조하게 만들어서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건조한 실내나 자동차 안에서 에어컨이나 히터에 의해 습도가 낮아져서 증상이 더 악화됩니다.
그리고 반대로 눈물을 많이 흘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눈물을 계속해서 많이 흘리지는 않습니다. 가끔씩 눈물이 많이 나올 때가 있습니다. 이 증상은 눈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눈물의 분비가 줄어들어서 나타납니다. 눈물 분비의 감소로 눈이 자극을 받기 때문입니다.
진단
진단은 안과병원에 가면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테스트지를 눈꺼풀 사이에 넣어서 5분 동안 10mm 이하로 적셔지면 안구건조증으로 진단을 받습니다. 또, 눈물이 마르는 속도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눈에 특수 안약을 넣어서 눈물이 나오게 한 다음, 눈물이 마르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원인
눈물은 우리의 생각과 다르게 눈알의 표면에 얇은 막처럼 형성되어있습니다. 눈물은 점액층, 수액층, 지방층이 3가지 성분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 3가지 성분 중 한 가지라도 부족할 경우에 눈물막이 불안정해져서 안구 건조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눈물막이 불안정해지는 원인은 눈물샘이 위축되거나 눈물 공급 통로의 폐쇄, 지방층을 만드는 기름샘의 문제가 있을 경우입니다.
요즘 눈꺼풀 문신을 많이 합니다. 문신을 하면 기름샘에 염증이 생겨서 지방층 생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그 결과, 지방층이 부족하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눈물의 분비가 줄어들면서 수액층이 부족하게 됩니다.
수액층 같은 경우에 여성호르몬과 관련이 있어서 폐경기 여성들에게 그 감소 증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점액층은 흰자위에 손상을 주는 유행성 결막염 같은 질병에 의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및 예방법
안구 건조증은 대부분 증상이 경미해서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런데 치료를 한다고 해서 완치가 쉽게 되는 병도 아닙니다. 삶의 질을 조금 불편하게 하는 그런 병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만약 안구 건조증이 있는데도 치료를 하지 않고 건조한 환경에 계속 노출된다면 눈에 염증이 생겨 시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안구 건조증의 치료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약물요법
먼저 약물요법입니다. 인공눈물을 사용해서 부족한 눈물을 보충해 주는 방법입니다. 간편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요즘에는 보존제가 없는 1회용 인공눈물을 많이 사용합니다. 장기간 이용해도 부작용의 위험이 없습니다. 인공눈물은 눈이 불편할 때만 넣어주면은 치료의 효과가 적을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더라도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자주 넣는 게 치료효과가 좋습니다.
안구 건조증이 심할 경우에는 안연고를 함께 사용하기도 합니다. 기름샘의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면봉으로 눈꺼풀 마사지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침에 세안할 때 면봉에 안약을 묻혀서 아래 눈꺼풀을 가볍게 문질러 마사지해 주면 됩니다. 다음은 환경요법입니다. 아무리 약물요법을 꾸준하게 쓴다고 해도 주변 환경이 건조하면은 치료효과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환경요법
주변 환경을 습하게 만들어주는 게 좋습니다. 가습기를 틀거나 방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외출을 할 경우에는 방풍 안경 착용하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눈 주변을 비닐 랩으로 싸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에어컨을 트는 것을 자제하고, 에어컨을 틀더라도 바람이 얼굴을 향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오랜 시간 책, 텔레비전, 컴퓨터를 보는 것도 자제해야 합니다. 그리고 헤어스프레이, 염색, 헤어드라이어 사용도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수술요법
다음은 수술요법입니다. 인공눈물을 넣어도 효과가 없는 경우, 인공눈물에 과민 반응을 보일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수술은 눈물이 나가는 구멍(눈물점)을 막는 방법입니다. 처음에는 콜라겐으로 만들어진 눈물점 마개를 사용해서 눈물점을 막습니다. 콜라겐 눈물점 마개는 나중에 녹아서 없어집니다. 눈물점을 막는 게 안구 건조증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콜라겐 눈물점 마개가 효과가 있으면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마개를 사용합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위, 아래 눈물점을 다 막거나 한쪽만 막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레이저나 전기소작기를 이용해 눈물점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 원상태로 복구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래 영상을 보시면 예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내장, 증상 종류에따른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2.11.29 |
---|---|
녹내장,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2.11.29 |
우리 아이 시기별 눈 관리법(신생아~만6세) (0) | 2022.11.28 |
안검하수, 종류 및 원인에 따른 증상 치료법 소개 (0) | 2022.11.28 |
사시,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