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 때문에 밤에 잠이 안 와서 걱정이신가요? 이러다가 정말 큰 일 날 것 같아서 걱정이신가요? 이 글 하나만 읽으시면 불면증에 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도록 해드리겠습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는지, 치료방법(수면제, 영양제 추천) 순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불면증 증상
증상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잠을 자려고 침대에 누웠는데 잠이 오지 않아 뜬 눈으로 밤을 새우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잠이 들고 이른 새벽에 잠이 깨서 다시 잠이 들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 두 경우 모두 고통스럽습니다.
이 경우가 하루, 이틀 단기간으로 이어질 경우에는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시적인 수면장애입니다. 그런데 이 상태가 3~4주 정도 지속된다면 단기 수면장애라고 부릅니다. 보통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결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모습입니다.
수면 장애 증상이 1달이 넘어서 거의 매일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만성 수면장애라고 부릅니다. 저도 만성 수면장애를 겪었습니다. 잠을 죽도록 자고 싶었는데 잠이 오지 않았습니다. 이러다 죽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제 옆에서 잠을 잤던 사람이 '잘 자던대요?'라고 말했습니다. 잠을 못 자서 몸과 마음이 피곤했던 저는 화가 났습니다. 이런 경험 있으신 분 있을 겁니다. 사실 이럴 때에는 우리가 잠이 든 것이 맞다고 합니다. 잠을 몇 시간 잤지만 우리는 잠을 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이 모두가 수면장애의 증상입니다.
원인
외부환경(침실 환경)
원인은 정말 다양합니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외부환경, 식습관, 스트레스(심리적인 면)로 나누려고 합니다. 먼저 외부환경은 침실 환경을 말합니다. 잠자리 환경이 쾌적하지 못한 경우 수면에 방해를 줄 수 있습니다. 커튼이나 암막커튼이 설치되지 않아 밖의 빛이 침실로 그대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기차 소리, 자동차 소리, 층간 소음 같은 소음이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 외부적인 환경은 비교적 쉽게 해결 가능합니다. 외부적인 환경을 차단하면 됩니다.
식습관
두 번째는 식습관입니다. 요즘 우리는 일상적으로 커피, 카페인 음료를 마십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카페인에 예민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커피 한 잔만으로도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할 수 있습니다. 카페인에 예민하지 않은 사람도 과하게 카페인을 섭취하는 경우 수면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시험기간에 밤을 새우기 위해서 커피, 고 카페인 음료를 마십니다. 직장인들은 야근을 하기 위해 커피, 고 카페인 음료를 마십니다. 카페인은 일시적으로 우리 몸을 각성시킵니다. 카페인을 섭취하면 정신이 맑아져 잠이 오지 않습니다.
사실 카페인이 존재하지 않는 체력을 만들어내는 게 아닙니다. 내일 쓸 체력을 끌어다 쓰는 것입니다. 카페인을 섭취할 경우 일시적으로 수면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페인을 매일 과도하게 섭취하게 된다면 우리 몸이 망가질 수 있습니다. 단기 수면장애를 넘어 만성 수면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카페인 섭취는 적당히 해야 합니다.
스트레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심리적인 면)입니다. 사실 앞서 다른 외부환경, 식습관은 쉽게 차단이 가능한 원인들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심리적인 면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면장애를 겪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이 많습니다. 그들은 고민, 걱정, 두려움이 많습니다.
생각을 하다 보면 해결이 되는 게 아니라 생각의 늪에 빠져 수면장애를 겪게 됩니다. 저도 생각이 많은 편입니다. 그러다 보니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 회사 업무에서 오는 스트레스 등을 자기 전에 고민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만성 수면장애에 걸렸습니다. 수면 장애 해결 방법을 공유하려 합니다.
치료방법
마음공부
마음공부를 보자마자 거부감이 드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아마 이런 생각이 드실 겁니다. '너도 나를 정신이 문제 있다고 생각하는 거냐', '그동안 노력했는데 효과가 없었다', '또 뻔한 소리 하는군'. 사실 저도 수면장애를 겪으면서 책이나 영상을 보면서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공부하면 흔히들 다루는 내용이 있습니다. 지금 내가 생각하는 걱정거리는 실현될 가능성이 극도로 낮습니다. 또는 실현이 되더라도 내가 걱정을 한다고 해서 달라질 게 없는 문제입니다.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분들은 걱정을 합니다.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분들도 고민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런데 잠이 안 오다 보니까 생각의 늪에 빠지게 됩니다.
제가 소제목을 마음공부로 적었지만 다른 분들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저도 이 한 가지 생각을 바꾸고 수면장애가 개선되기 시작했습니다. 데일 카네기가 쓴 자기 계발론에 나온 내용입니다. '잠을 하루 이틀 못 잔다고 병이 걸리는 게 아니다. 잠을 못 잔다는 걱정 때문에 우리는 몸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
우리는 침대에서 눈을 감고 누워있는 것만으로도 수면과 90% 비슷한 효과를 낸다고 합니다. 그리고 잠을 못 잤을 때, 다음 날 졸음 등으로 피로를 해결한다. 수면장애를 겪고 계신 분들은 이 부분을 꼭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운동
누구나 아는 이런 뻔한 방법을 소개하려는 게 아닙니다. 물론 몸을 피곤하게 해서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저도 주 4~5회 달리기를 하고 수면장애가 많이 개선됐습니다. 제가 소개해드리고 싶은 방법은 뇌 운동입니다.
거창하게 뇌 운동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은 글쓰기와 독서입니다. 자려고 누웠는데 잠이 안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2가지입니다. 걱정이 너무 많거나 그냥 잠이 안 오는 경우입니다.
글쓰기
걱정이 많을 때에는 그 걱정과 관련된 내용을 글로 적어 봅니다. 글을 잘 쓰려고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냥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시면 됩니다. 글로 적어보면 생각이 명료해지고 속이 시원해집니다. 걱정이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마음이 편해집니다.
독서
그리고 이유 없이 잠이 안 오는 경우에 책을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책을 읽다 보면 눈이 피로해지면서 피곤해집니다. 이 뇌 운동을 꼭 한 번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잠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이 뇌 운동들을 하는 게 얼마나 귀찮은지 저도 알고 있습니다. 변화하지 않으면 달라지지 않습니다. 한 번 속는 셈 치고 해 보시길 바랍니다.
수면제 및 영양제 추천
수면제
먼저 수면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수면제는 최후의 수단으로 가급적이면 추천을 드리지 않습니다. 저도 수면제를 먹어봤습니다. 수면제는 처음에는 효과가 좋으나 점점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면제를 먹고 일어나면 한동안 멍한 불쾌한 기분이 듭니다. 물론 약마다 차이가 있지만 이 부분은 의사 선생님과 상담 후 결정해보셨으면 합니다.
영양제
수면제보다는 영양제를 추천합니다. 수면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도 다양합니다. 제가 먹어보고 가장 효과가 좋았던 영양제를 추천하겠습니다. 마그네슘과 레시틴 분말형입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이 두 영양제를 함께 먹으면 몸이 차분해지고 나른해집니다. 두 영양제 모두 부작용이 거의 없는 편이라 안심하고 추천드립니다.
제품도 추천드리겠습니다. 마그네슘은 블루 보넷 킬레이트 마그네슘, 캘리포니아 골드 뉴트리션 마그네슘 비스글리시네이트입니다. 레시틴 분말형은 라이프익스텐션 레시틴입니다. 꾸준히 드시면 효과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영양제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고약사님 유튜브 영상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중요한 부분부터 재생이 되니 영상을 보시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구매하기 편하시라고 구매 사이트 링크 첨부해 드립니다. 저와는 수익관계가 전혀 없다는 사실 밝힙니다.
< 구매 사이트 : 아이허브, 블루보넷 킬레이트 마그네슘 >
< 구매 사이트 : 아이허브, 캘리포니아 골드 뉴트리션 마그네슘 비스글리시네이트 >
< 구매 사이트 : 아이허브, 레시틴분말형 라이프익스텐션 레시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기능저하증,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2.12.16 |
---|---|
전립선비대증,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2.12.15 |
여성갱년기,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2.12.13 |
칸디다증,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2.12.12 |
협심증,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