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약국에서 약을 처방받으면 흔히 식후 30분에 먹으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대부분은 약이 독해서 위장이 상할 수 있어서라고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런데 이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약물은 그 약물 별로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복용시기가 모두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왜 식사 후 30분이 지나서 약을 먹으라는 말이 생겼는지 이유와 약물 별로 최적의 복용시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썼으니 부담 갖지 말고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 하나만 끝까지 읽으시면 약 복용시기로 고민하는 일은 모두 사라지실 것입니다.

 

목차

     

    식후 30분 복용?

    식후 30분에 약을 먹으라는 말이 우리에게는 당연시되었지만, 모든 약을 식후 30분에 먹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그 약의 특성 즉, 흡수율, 복용목적, 작용 기전에 따라 공복, 식전, 식후, 식사 중 등 그 먹어야 하는 시간이 다 다릅니다. 그렇다면 왜 식후 30분 복용이라는 말이 사용되는 것일까요?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식후 30분에 약을 먹으라는 이유

    위장장애 부작용 예방

    앞서 말씀드렸듯이 식후 30분에 약을 먹으라고 하는 것은 위장장애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만 과거에는 사람들이 잘 먹지 못했습니다. 규칙적이게 식사를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모두가 아시겠지만 식사를 불규칙하게 하면 위장이 상하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약을 먹게 되면 위장이 더 상하고, 속 쓰림,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약마다 다르긴 하지만 음식물과 함께 먹을 경우 약물의 흡수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약물의 흡수를 방해하지 않는 최소한의 시점이 식후 30분입니다. 이런 이유로 식후 30분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규칙적인 복용 유도

    만약 약을 처방받았는데, 8시간에 한 번씩 먹으라고 하면 잊지않고 약을 먹는 분들이 몇 분이나 계실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을 먹는 것을 까먹거나 그 시간을 놓쳐서 먹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규칙적이게 약물을 먹지 않다 보면 그 효과가 떨어져서 치유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잊지않게 약을 먹게 하기 위해서 만든 방법이 바로 식후 30분입니다. 식사를 하고 나서 약을 먹으라고 연결을 지으면 그만큼 잊어버리지 않고 약을 먹게 됩니다. 실제로 식사 후 30분이라는 말은 많은 사람들이 약을 먹는 것을 까먹지 않게 해 줍니다. 이것은 모두가 경험을 해서 공감이 가리라고 생각합니다.

     

    약물별 최적의 복용시기

    원리

    먼저 약물별 최적의 복용시기를 알려드리기에 앞서서 그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약을 먹게되면 그 약이 우리 몸에 퍼지게 됩니다. 이것을 전문 용어로 혈중 농도라고 부릅니다. 우리의 혈액에서 약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가 돼야 그 효과를 잘 볼 수 있게 됩니다. 여기서 알려드리는 최적의 복용시기는 약물의 혈중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공복/식전에 복용하면 좋은 약물

    보통 공복/식전에 먹는 약물들은 음식물에 의해 체내 흡수가 방해되거나 위산에 의해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들입니다. 역류성 후두염(식도염)약으로 사용되는 프로톤펌프 억제제, 골다공증 약으로 사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혈당강하제로 사용되는 글리메피리드 등이 있습니다.

    효과 복용시기
    프로톤펌프 억제제(PIS) 역류성 식도질환 식전 복용 권장
    비스포스포네이트 계 약물 골다공증 공복 복용 권장
    글리메피리드 당뇨(혈당강하제) 식전 복용 권장
    메토트렉세이트 류마티스관절염, 건선, 백혈병 공복 복용 권장
    알벤다졸 구충제 공복 복용 권장
    식욕억제제, 식욕 촉진제 각각 식욕 억제 및 촉진 식전 복용 권장
    위장운동 조절제 위장장애, 소화불량 공복 복용 권장
    정장제 설사, 변비, 복부팽만감 식전 /공복 복용 권장
    실로스타졸 항응고제 공복 복용 권장
    펙소페나딘 알레르기성 비염 공복 복용 권장
    레보티록신 갑상선 저하증 공복 복용 권장

     

    식사중/ 식사 후 복용하면 좋은 약물

    식사 중/ 식사 후에 복용하면 좋은 약물들은 대부분 공복 시에 먹었을 경우 위장장애가 나타날 수 있는 약들입니다. 이런 약물들은 스테로이드제, 소염진통제, 항생제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소염진통제 중에서 우리가 흔히 아는 타이레놀은 공복에 먹어도 위장장애가 없는 제품입니다. 이 점만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위가 건강하신 분들이라면 어쩌다 한 번 공복에 먹는다고해서 위장장애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다만, 이런 약들을 공복에 자주 복용하면 위를 보호하는 점막층이 약해지게 돼서 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식사 중에 먹으라는 약물들은 음식과 함께 먹을 경우 흡수율이 좋아지는 약들입니다.

    효과 복용시기
    NSAIDs계열 소염진통제 소염, 진통, 해열 식후 복용 권장
    아스피린 소염, 진통, 해열 식후 복용 권장
    스테로이드 계열 항염증 식후 복용 권장
    메트포르민 당뇨 식사 중 복용 권장
    소화제 소화불량 식후 복용 권장
    알로푸리놀 통풍 식후 복용 권장
    아시트레틴, 이소트레티노인 여드름 식사중/ 식후 복용 권장

     

    자기전에 먹으면 좋은 약물

    일부 약물들은 그 부작용 때문에 자기 전에 먹는 것이 좋은 약물들도 있습니다. 주로 신경안정제, 수면제같이 졸음이 올 수 있는 약물입니다.

    효과 복용시기
    신경안정제 불안, 긴장 완화 졸음 등의 부작용으로 취침전 복용 권장
    수면제 불면증 치료 취침전 복용 권장
    심바스타틴 고지혈증 작용 시간을 고려하면 저녁에 먹는 것이 유리
    비사코딜 변비 작용 시간과 배변시간을 고려하면 취침전이 유리
    독사조신, 일부전립선비대증 치료제 고혈압,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배뇨장애 취침전 복용 권장(기립성 저혈압 유발)
    항히스타민제 비염, 재채기, 콧물, 두드러기 등 졸음 등의 부작용으로 취침전 복용 권장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