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약국에서 약을 처방받으면 흔히 식후 30분에 먹으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대부분은 약이 독해서 위장이 상할 수 있어서라고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런데 이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약물은 그 약물 별로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복용시기가 모두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왜 식사 후 30분이 지나서 약을 먹으라는 말이 생겼는지 이유와 약물 별로 최적의 복용시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썼으니 부담 갖지 말고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 하나만 끝까지 읽으시면 약 복용시기로 고민하는 일은 모두 사라지실 것입니다.
목차
식후 30분 복용?
식후 30분에 약을 먹으라는 말이 우리에게는 당연시되었지만, 모든 약을 식후 30분에 먹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그 약의 특성 즉, 흡수율, 복용목적, 작용 기전에 따라 공복, 식전, 식후, 식사 중 등 그 먹어야 하는 시간이 다 다릅니다. 그렇다면 왜 식후 30분 복용이라는 말이 사용되는 것일까요?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식후 30분에 약을 먹으라는 이유
위장장애 부작용 예방
앞서 말씀드렸듯이 식후 30분에 약을 먹으라고 하는 것은 위장장애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만 과거에는 사람들이 잘 먹지 못했습니다. 규칙적이게 식사를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모두가 아시겠지만 식사를 불규칙하게 하면 위장이 상하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약을 먹게 되면 위장이 더 상하고, 속 쓰림,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약마다 다르긴 하지만 음식물과 함께 먹을 경우 약물의 흡수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약물의 흡수를 방해하지 않는 최소한의 시점이 식후 30분입니다. 이런 이유로 식후 30분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규칙적인 복용 유도
만약 약을 처방받았는데, 8시간에 한 번씩 먹으라고 하면 잊지않고 약을 먹는 분들이 몇 분이나 계실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을 먹는 것을 까먹거나 그 시간을 놓쳐서 먹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규칙적이게 약물을 먹지 않다 보면 그 효과가 떨어져서 치유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잊지않게 약을 먹게 하기 위해서 만든 방법이 바로 식후 30분입니다. 식사를 하고 나서 약을 먹으라고 연결을 지으면 그만큼 잊어버리지 않고 약을 먹게 됩니다. 실제로 식사 후 30분이라는 말은 많은 사람들이 약을 먹는 것을 까먹지 않게 해 줍니다. 이것은 모두가 경험을 해서 공감이 가리라고 생각합니다.
약물별 최적의 복용시기
원리
먼저 약물별 최적의 복용시기를 알려드리기에 앞서서 그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약을 먹게되면 그 약이 우리 몸에 퍼지게 됩니다. 이것을 전문 용어로 혈중 농도라고 부릅니다. 우리의 혈액에서 약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가 돼야 그 효과를 잘 볼 수 있게 됩니다. 여기서 알려드리는 최적의 복용시기는 약물의 혈중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공복/식전에 복용하면 좋은 약물
보통 공복/식전에 먹는 약물들은 음식물에 의해 체내 흡수가 방해되거나 위산에 의해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들입니다. 역류성 후두염(식도염)약으로 사용되는 프로톤펌프 억제제, 골다공증 약으로 사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혈당강하제로 사용되는 글리메피리드 등이 있습니다.
약 | 효과 | 복용시기 |
프로톤펌프 억제제(PIS) | 역류성 식도질환 | 식전 복용 권장 |
비스포스포네이트 계 약물 | 골다공증 | 공복 복용 권장 |
글리메피리드 | 당뇨(혈당강하제) | 식전 복용 권장 |
메토트렉세이트 | 류마티스관절염, 건선, 백혈병 | 공복 복용 권장 |
알벤다졸 | 구충제 | 공복 복용 권장 |
식욕억제제, 식욕 촉진제 | 각각 식욕 억제 및 촉진 | 식전 복용 권장 |
위장운동 조절제 | 위장장애, 소화불량 | 공복 복용 권장 |
정장제 | 설사, 변비, 복부팽만감 | 식전 /공복 복용 권장 |
실로스타졸 | 항응고제 | 공복 복용 권장 |
펙소페나딘 | 알레르기성 비염 | 공복 복용 권장 |
레보티록신 | 갑상선 저하증 | 공복 복용 권장 |
식사중/ 식사 후 복용하면 좋은 약물
식사 중/ 식사 후에 복용하면 좋은 약물들은 대부분 공복 시에 먹었을 경우 위장장애가 나타날 수 있는 약들입니다. 이런 약물들은 스테로이드제, 소염진통제, 항생제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소염진통제 중에서 우리가 흔히 아는 타이레놀은 공복에 먹어도 위장장애가 없는 제품입니다. 이 점만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위가 건강하신 분들이라면 어쩌다 한 번 공복에 먹는다고해서 위장장애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다만, 이런 약들을 공복에 자주 복용하면 위를 보호하는 점막층이 약해지게 돼서 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식사 중에 먹으라는 약물들은 음식과 함께 먹을 경우 흡수율이 좋아지는 약들입니다.
약 | 효과 | 복용시기 |
NSAIDs계열 소염진통제 | 소염, 진통, 해열 | 식후 복용 권장 |
아스피린 | 소염, 진통, 해열 | 식후 복용 권장 |
스테로이드 계열 | 항염증 | 식후 복용 권장 |
메트포르민 | 당뇨 | 식사 중 복용 권장 |
소화제 | 소화불량 | 식후 복용 권장 |
알로푸리놀 | 통풍 | 식후 복용 권장 |
아시트레틴, 이소트레티노인 | 여드름 | 식사중/ 식후 복용 권장 |
자기전에 먹으면 좋은 약물
일부 약물들은 그 부작용 때문에 자기 전에 먹는 것이 좋은 약물들도 있습니다. 주로 신경안정제, 수면제같이 졸음이 올 수 있는 약물입니다.
약 | 효과 | 복용시기 |
신경안정제 | 불안, 긴장 완화 | 졸음 등의 부작용으로 취침전 복용 권장 |
수면제 | 불면증 치료 | 취침전 복용 권장 |
심바스타틴 | 고지혈증 | 작용 시간을 고려하면 저녁에 먹는 것이 유리 |
비사코딜 | 변비 | 작용 시간과 배변시간을 고려하면 취침전이 유리 |
독사조신, 일부전립선비대증 치료제 | 고혈압,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배뇨장애 | 취침전 복용 권장(기립성 저혈압 유발) |
항히스타민제 | 비염, 재채기, 콧물, 두드러기 등 | 졸음 등의 부작용으로 취침전 복용 권장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방정 장용정, 복용 목적, 복용시 주의할 점 등 안내 (0) | 2023.03.29 |
---|---|
약 유통기한, 약 종류 제형에 따른 유통기한 안내 (0) | 2023.03.28 |
상처연고 흉터연고, 효과 바르는 시기 종류 안내 (0) | 2023.03.26 |
우황청심환(우황청심원), 효과 성분 부작용 안내 (0) | 2023.03.25 |
항생제와 관련된 FAQ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