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부모님들이 아이의 키 성장에 대해 관심이 많으실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부모님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아이 키성장과 관련된 궁금증 5가지를 준비했습니다. 분유와 키성장과 관련성, 키 크는데 좋은 운동, 살이 키로 간다?, 성장클리닉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분유를 먹으면 키 크는데 도움이 될까?
한 방송 프로그램에 배우 주원이 나와서 중학생 때 분유를 먹고 키가 1년에 20cm가 컸다고 말을 했습니다. 이 방송을 보고 2가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원래 주원은 키가 클 사람이어서 분유를 먹지 않아도 컸을 것이다'입니다. 나머지 하나는 '정말 분유를 먹으면 키가 클 수 있을까'입니다.
먼저, 한 가지 확실한 것부터 말씀드리면, 분유를 먹으면 키가 크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분유는 우유를 가루로 만든 형태입니다. 분유는 우유를 농축시키고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추가로 넣어서 만들었습니다.
실제로 분유는 키 성장에 도움이 되는 칼슘, 단백질, 기타 무기질이 우유보다 훨씬 더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단백질은 우유보다 4배 이상 더 많이 들어있고, 칼슘도 2배 이상 더 많이 들어 있습니다. 영양학적으로는 분유를 먹는 것이 키가 크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0대 아이들이 키 크는데 도움이 되는 분유 먹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런데 분유의 가격이 상당히 비싼 편입니다. 일반 통 분유보다는 탈지분유를 먹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탈지분유는 가격도 저렴하고 칼슘함량도 높습니다. 그리고 지방이 제거된 제품이라 칼로리도 낮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맛이 없다는 것입니다. 음료를 먹을 때 타서 먹는 방법과 탈지분유를 이용해서 요리를 만들어서 먹는 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 탈지분유는 하루 100g 정도 먹으시면 성장기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끝으로 키가 크려면 영양공급이 원활해야 합니다. 이미 충분한 양의 영양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에서 분유를 먹으면 살만 찌게 될 것입니다. 이 부분은 꼭 고려해서 아이에게 분유를 먹일 것을 권합니다.
2. 겨드랑이 털이 나면 더 이상 키가 크지 않는다?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겨드랑이 털이 나도 키가 큰 사람은 많습니다. 그런데 왜 겨드랑이 털이 나면 키가 크지 않는다는 말이 나왔을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우리 몸에 나는 털에 대해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서 우리 몸에서 털이 나게 됩니다. 먼저 호르몬이 조금 나올 때에는 겨드랑이와 음부에 털이 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호르몬의 분비가 많이 되면 얼굴과 가슴에 털이 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 몸에 털이 날 때는 부드럽고 얇은 솜털부터 나기 시작합니다. 그 솜털이 일련의 과정을 거치고 나서 빠지고 나면 굵고 까만 털이 나옵니다.
겨드랑이와 음부 쪽에 솜털이 나기 시작한다면 성장기 초기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솜털들이 빠지고 굵고 까만 털이 나오면서 얼굴과 가슴 쪽에 털이 난다면 성장이 끝났음을 알려줍니다. 겨드랑이와 음부쪽에 솜털이 나기 시작한다면 이제 키가 클 수 있는 시간이 제한이 됐다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이때 키가 작은 편이라면 키 성장을 위한 노력(키 크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 키성장 클리닉 방문)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유전적으로 어렸을 때부터 가슴에 털이 나는 사람이 있고, 털이 원래부터 굵게 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점은 가족력을 잘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3. 살이 키로 간다?
우리는 성장기 때 아이들이 살이 찌면 나중에 키로 가니까 그냥 두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이 궁금증에 대한 정답은 성별과 나이에 따라 다릅니다.
여자의 경우에는 사춘기 이전에 비만이 나타나면 키 크는 데 불리할 수 있습니다. 비만한 여자아이의 경우에는 성조숙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성조숙증이 발생하면 호르몬의 분비가 빨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사춘기가 빨리 와서 키와 몸의 성장이 더 빨리 나타나게 됩니다. 사춘기가 빨리 온 만큼 성장이 끝나는 시기도 빨라져서 최종 키가 작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남자의 경우에는 사춘기 일 때 비만이면 키 크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한 연구에서 비만인 남자아이와 그렇지 않은 남자아이들의 키 성장을 비교한 결과, 비만인 아이들이 2cm가량 키가 작았습니다. 여자의 경우에는 비만과 비만이 아닌 경우의 키 차이가 거의 없었습니다.
키와 비교해서 몸무게가 상위 95% 이상이면 보통 비만이라고 합니다. 키 성장에 중요한 시기에는 아이가 비만인지 아닌지 확인을 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비만인지 확인하는 대략적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키가 140cm 이상 일 때만 사용 가능한 방법입니다. (아이의 키-95)보다 아이의 몸무게가 많이 나가게 된다면 아이는 상위 95%에 해당하는 비만입니다. 이 기준은 남자아이가 기준이고 여자아이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4. 키 크는데 좋은 운동
먼저 정답부터 알려드리면 농구, 줄넘기, 스쿼트, 런지입니다. 아마 농구와 줄넘기는 대부분이 예상했던 운동일 것입니다. 그런데 근력 운동인 스쿼트와 런지를 보고 의아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근력 운동을 하면 키가 클 것이 근육으로 가서 키 크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키 성장과 운동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키가 크기 위해서는 성장판이 자극이 돼야 하고, 성장 호르몬이 분비가 돼야 합니다. 성장판 자극은 위, 아래로 뛸 때 자극이 많이 됩니다. 성장 호르몬은 근력운동을 하면 분비가 촉진이 됩니다. 이 2가지 요건을 가장 잘 충족하는 운동이 농구와 줄넘기입니다.
스쿼트와 런지는 사실 성장판 자극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다만, 이 두 운동은 우리 몸의 가장 큰 근육인 하체근육을 발달시켜서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단, 스쿼트와 런지를 할 때 중량을 치는 것보다는 맨 몸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근육을 커지게 하지 않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근력 운동과 키 성장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무게를 치는 근력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이 커지게 됩니다. 이 근육이 커지는 과정에서 성장 호르몬이 사용하게 돼서 키가 크는데 필요한 성장 호르몬이 부족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근력 운동 때문에 키 성장이 방해될 수 있습니다. 성장기에는 가급적이면은 고중량의 근력 운동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운동시간도 중요합니다. 키가 크지 않아서 조바심에 운동을 하루에 3~4시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운동을 과도하게 할 경우에는 성장 호르몬이 손상된 세포를 회복하기 위해 사용돼서 키가 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키가 크고 싶다면 운동은 하루에 1시간 정도 하는 게 적당합니다.
5.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보통 성장클리닉은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시기 때 많이 방문합니다. 그런데 아이의 키가 정상적으로 잘 크고 있는지 몸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좀 더 일찍 찾는 것이 좋습니다. 키에 대한 검사나 치료는 빠를수록 효과가 좋기 때문입니다.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는 크게 2가지입니다. 저신장증과 성조숙증이 의심될 때입니다. 순서대로 관련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저신장증
저신장증 의심 증상
- 태어날 때 2.5kg보다 작게 태어났으면서 키가 또래보다 작을 경우
- 미취학 시기와 초등학교 때 키가 1년에 4cm 이상 크지 않을 경우
- 연령별 평균 신장보다 10cm 이상 작은 경우
- 아이의 키가 하위 3% 이내 일 경우
위 증상들이 있으면 저신장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저신장증은 몸에 병이 있어서 키가 크지 않는 것입니다. 치료만 제 때 해준다면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습니다. 터너증후군, 성장호르몬 결핍, 프래더-윌리증후군 등의 병이 있으면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보통 남자아이의 경우에는 늦어도 만 13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고, 여자아이의 경우에는 월경이 시작하기 전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조숙증
성조숙증 의심 증상
- 만 8세 이전에 가슴이 커지고 멍울이 잡히는 여자 아이
- 키가 갑자기 한 달에 4cm 이상 자란 여자 아이
-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는 경우(엄지 손가락 마디 크기 이상)
- 조기 사춘기가 의심될 때(음모가 나고 변성기가 시작되고, 여드름이 많이 나는 등 2차 성징이 보이는 경우)
성조숙증 치료는 보통 한 달에 1번에서 3달에 1번 정도 치룔르 받고 만 13세 이전에 치료가 끝이 납니다. 보통 치료를 할 때에는 키가 잘 크지 않지만 치료가 끝나고 나면 잘 자라게 됩니다. 치료 중에 키가 크지 않는 다고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인플루엔자), 증상 원인 치료방법 및 예방법 안내 (0) | 2023.02.02 |
---|---|
쯔쯔가무시병, 유행성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증상 원인 치료방법 안내 (0) | 2023.02.01 |
영·유아 야간 수면 문제, 도중에 깨는 이유, 대처방법 안내 (1) | 2023.01.30 |
영·유아 열이 나는 증상, 원인 대처방법 안내 (1) | 2023.01.29 |
영·유아 구토, 증상 원인 대처방법 안내 (1) | 2023.01.28 |